반응형

월성1호기 재가동 표결완료.2022년까지 재가동.정말 안전한한가?

 

 

 

 

◇월성 1호기 연혁·계속운전 심사 일지

▲1982. 11 = 최초 임계 운전(설계수명 기간 개시일)

▲1983. 4 = 상업운전 개시

▲2009. 4 ∼ 2011. 7 = 한수원, 노후설비 개선에 5천600여억원 투입

▲2009. 12 = 한수원, 계속운전(운전기간 10년 연장) 신청

▲2009. 12 ∼2014. 9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심사·검사

▲2010. 2 = 한수원, 서류적합성 결과 및 심사계획서 제출

▲2010. 12 = 원자력안전위원회, 서류적합성 심사완료(적합) 및 심사 착수

2012. 11 = 월성 1호기 설계수명(30년) 만료, 가동중단

▲2014. 10 = KINS, 안전성 심사결과 보고서 제출(적합)

▲2013.8 ∼ 2015. 1. 6 =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전문가검증단 보고서 제출

KINS검증단 "안전성 확보"-민간검증단 "안전성 미흡"

▲2015. 1. 15 = 원안위,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심의
-차기 회의 재심의 결론

▲2015. 2. 12 = 원안위,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재심의
-차기 회의 재심의 결론

▲2015. 2. 26 = 원안위,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재심의
-계속운전 결정

 

 

경주 월성1호기(오른쪽) 전경경주 월성1호기(오른쪽) 전경.

 

 

새벽부터 속보가 올라오더니 뭔가 했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오는 2022년까지 더 가동된다는 소식이었다.

 

그동안 잊고 있었는데 양남에 위치한 월성1호기는 가동수명 30년 수명을 다하고

 

2012년도에 가동이 중단된채 있었다.

 

계속 운전할껄 예상해서인지 5천600억이 넘게 자금 투입하고도 운행 못할지 알았는데

 

결국 이렇게 될거였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원전안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다들 걱정인것은

 

원전 자체가 자연적 사고 뿐만 아니라 체르노빌 사고처럼  기계결함과 작업자 실수로도

 

위험해 질수 있다는 것이다.

 

사고은폐관련 뉴스보도

 

경주 월성1호기 방사능 누출 은폐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670725&news_area=040&news_divide=&news_local=11,15&effect=4

 

 

 

현재 2월 27일 현재 한수원  발전소 실시간 운영정보

 

찬반의 여론은 당연하다. 수천억의 비용을 들여 보완해놓고 가동중지라면

정부에서는 헛돈쓴게 되고 그걸 무시하고 계속 돌리자니 여론이 악화되고

실제로 후쿠시마사건이 있기전에는 나또한 그렇게 신경쓰지 않았었다.

 

 찬성여론 뉴스보도

경주 월성원전 1호기 계속운전, 빠른 결정만이 답이다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8678

 

 

위험하지 않다는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위원장

월성 1호기가 위험하지 않다니...거짓말입니다

[재반론] 한수원의 주장에 조목조목 반박하자면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위원장)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14123 

 

결론은 이미 났다. 정부에서 결정이 내려졌다면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며,

앞으로 시설뿐만아니라 원전 하청비리등 여전히 불신의 여건들을 투명하게

안전하다는것을 보여줘야 할것이고,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경주 시민,울산시민등 주변지역 시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

 

나도 36Km밖에 안떨어진 포항에 살지만.. 불안해도 이사갈 수 있는것도 아니고

앞으로 우리삶의 터전이 훼손되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반응형
반응형

오랜만에 환호 해맞이 공원에 가보았습니다.연휴시작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거의 없더군요.

포항시립미술관에는 원로작가 이경희화백의 "만의 풍경" 전시와 워터스케이프 "물의 정치학" 이

전시중이었습니다. 

포항의 옛모습들을 수채화로 그린 그림이 많던데 윤하가 어둡다고 무섭다고 보채는 바람에

재대로 보지도 못하고 나와버렸네요 ㅠㅠ3월 29일까지 전시한다고 하니 또 기회가 된다면

자세히 한번 보고싶네요.






 

 

반응형

'기타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 하루,그리고 밥상  (0) 2015.04.10
에어비타 공기정화기 사용후기!~  (0) 2015.03.23
2015년 1월 27일 오전예배  (0) 2015.01.27
실생활 영어  (0) 2012.04.05
사랑하고 있나요(사랑확인법)  (0) 2012.04.05
반응형
경북HCN방송에 소개된 세명기독병원 권역별응급센터 유치노력입니다.

올해엔 포항지역 최초화상센터 개소도 있을예정입니다.

포항 '응급의료' 개선 기대(RE)

기사입력 2015-02-09 [정필문 기자]

 

 

 

<앵커멘트>

인구가 50만 명이 넘지만, 포항은 응급 의료 진료 환경은 도시 규모에 뒤쳐지는 게 현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포항에도 권역별 응급의료센터가  들어설 계획이라고 하는데,의
료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정필문기자의 보돕니다. 

<기사본문>
[리포트]

포항 시민들이 느끼는  생활불편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응급 의료 인프라입니다.  

야간엔 응급환자가 발생해도 병원 이곳 저곳을 떠돌다 결국 대구까지 가야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싱크// ]

하지만, 이런 불편이 올 하반기부터는 상당부분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를 현재 전국 20곳에서  41곳으로 늘리기로 했는데,
포항도 확대 대상에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권역별 응급센터가 들어서면 포항과 영덕, 울진 등 경북동해안권 응급환자들의 역외유출 없이, 
자체적인 신속한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특히 중환자의 응급수술도  지체없이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성이 더욱 절실합니다.   

[인터뷰 // 이기중 // 응급의학과 전문의]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곳은 세명기독병원입니다.  

이 병원은  응급 전문의가 보건복지부 기준보다 많고,  풍부한 외상 치료 경험과  최신 의료 시설 등을 내세워
유치를 자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는 4월에는 지역 최초로 화상치료센터까지 개소하는 등 응급의료 인프라 확대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 한동선 원장 // 포항세명기독병원]

포항성모병원도 최근 신관 증축 등을 통해 의료진과 시설 면에서 경쟁력을 자신하며, 유치 경쟁에 맞불을 놓은 상탭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올 상반기 안에  유치 병원을 선정할 계획인데, 지역주민들로썬 어느 병원이 선정되든

응급진료 체계 개선에 따른 혜택을 누릴 수 있을 전망입니다.

hcn뉴스 정필문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